I got IT

리눅스 마운트 본문

Linux

리눅스 마운트

joshhoxy 2023. 5. 17. 17:29

서버를 운영하다보면 디스크를 추가 하여야하는 상황이 생깁니다. 이 때 새로 연결한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 마운트 과정이 필요합니다. 

마운트란?

◾ 실제 공간인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에 연결하는 것

 장치와 파일을 연결해주는 것

즉 실제 저장장치인 디스크와 파일시스템의 단위 개념인 디렉터리를 연결하는 것

     -> 물리적인 파일 시스템을 임의의 디렉토리인 마운트 포인트를 이용하여 해당 파일 시스템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일련의 행위

    ▪ 마운트 포인트: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음. A라는 파일 시스템에 B라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할 수도 있음.

    ▪ 파일 시스템: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 및 접근할 수 있도록 보관 또는 조직하는 시스템을 말함. 

 

※ 파일시스템 종류

 EXT 확장 파일 시스템 (extext2ext3ext4)

 ZFS

 ResierFS

 XFS

윈도우 - FAT, NTFS 등
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파일_시스템

 

마운트 시 주의사항

 한 개의 장치(디바이스)는 한 개의 마운트 포인트만 사용 (1:1)

 마운트 포인트는 임의의 디렉토리여야 함

 반드시 포맷(파일 시스템 생성) 후 사용

 마운트 해제 시, 마운트 포인트 이외의 디렉토리에서 해야만 한다.

 마운트할 경우 마운트 포인트의 기존 내용을 덮어버리게 된다.(지워지는 것은 아님)

 사용자 및 시스템 관련된 디렉토리를 마운트 포인트로 지정해서는 안된다.

 마운트 시 작업할 대상은 반드시 파티션(primary, logical)만 가능

 하드디스크와 확장 파티션(extended)는 작업대상 될 수 없다.

 

마운트 과정

 디스크 추가 (물리적 디바이스)

 디스크 파티션 분할

 용도에 맞게 파일 시스템 포맷

 디스크를 마운트 할 마운트 포인트 생성

 마운트

 

리눅스 서버에서 실질적으로 디스크를 마운트 하는 과정은 다음 포스팅에 작성하겠습니다.